- Event Tick 함수를 통해 매 프레임마다 이동하기
ex) 매 프레임마다 X축으로 액터 움직이기
1) Event Tick에 Set Actor Location 함수 연결해 매 프레임마다 액터의 위치 설정
- Event Tick: 매 프레임 마다 함수 실행
- Set Actor Location함수: 타겟 액터에 대한 새로운 위치 설정
- New Location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구조체 핀 분할을 하면 X / Y / Z 축 각각 설정 가능
2) 새로운 위치를 설정해주기 위해 액터의 원래 위치에서 이동속도를 줘 위치 좌표 업데이트 하기
(1) 이동 속도 설정
- 매 초마다(Delta Seconds) 변화를 주기 위해 Delta Seconds에서 핀을 끌어당겨 *를 통해 곱하기 함수 호출
- 숫자 기입해 얼마 만큼 변화를 줄 것인지 설정(= 움직일 속도 설정)
- 설정한 속도값(Delta Seconds * 100)의 결과 값에 +를 통해 더하기 함수 호출
- 이벤트 그래프의 빈 공간에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함수 검색
- get Actor Location 함수를 검색해 가져오기
- 해당 함수의 Target은 액터 자체이기에 놔두고 Return Value에서 구조체 핀 분할을 통해 X / Y / Z 좌표로 분할
- 액터의 현재 X좌표의 값을 더하기 함수의 더할 대상 값에 연결
- 더한 값의 결과값을 New Location X값에 연결해 X좌표에 대한 위치를 설정
728x90
'Unreal Engine🎮 > 블루프린트 - 실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타임라인 (0) | 2024.09.30 |
---|---|
액터 실시간 회전 시키기 (0) | 2024.09.29 |
레벨에 액터 배치하기 (2) | 2024.09.29 |
레벨 (1) | 2024.09.29 |
머티리얼과 머티리얼 인스턴스 (0) | 2024.09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