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접 배치
1. 레벨에 액터 직접 배치
1) 액터 배치 창에서 레벨에 액터 세팅
- 원하는 액터를 선택해 레벨에 끌어 놓으면 선택한 액터가 레벨에 배치됨
- 디테일 창을 통해 레벨에 배치한 액터의 머터리얼 속성이나 위치 / 회전 / 스케일 값 수정 가능
* 액터의 위치 / 회전 / 스케일 변경을 위한 단축키 : 액터 선택 후 w(위치 이동) / e(회전) / r(스케일 변경)
블루프린트 클래스
2. 블루프린트 클래스를 통해 레벨에 배치
1) 블루프린트 클래스
- 해당 액터에 대해 함수(동작 / 속성 등) 를 추가하고 싶을 때 사용
- 활성화된 레벨의 뷰포트에서 레벨을 플레이했을 때 실행하는 클래스
2) 블루프린트 생성 방법
콘텐츠 브라우저 > 오른쪽 마우스 클릭 > 부모 클래스 선택
- 액터 블루프린트 클래스: 월드에 배치되는 액터에 대해 설정하는 클래스
ex) 흔히 문, NPC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지 않는 액터에 설정
- 콘텐츠 브라우저에 생성된 블루프린트클래스의 이름을 변경하고(선택사항) 더블클릭하면 블루프린트 설정(?) 화면 생성
3) 블루프린트 클래스에서 컴포넌트 추가
- 컴포넌트 창에서 추가 버튼 클릭해 원하는 컴포넌트 추가
ex) 스태틱 메시 컴포넌트로 추가할 경우
- 디테일 창에 스태틱 메시 컴포넌트에 대한 속성이 생성됨
: 디테일 > 스태틱 메시에서 원하는 모양으로 선택해 컴포넌트에 대한 모양 설정 가능
ex) 큐브모양으로 설정할 시: 스태틱 메시 메뉴에서 없음 선택 > cube 검색 > 원하는 큐브모양 선택
4) 생성한 컴포넌트에 대해 이벤트 생성: 이벤트 그래프 클릭
- 각 노드에 대한 활성화: 실행 핀을 끌어 다른 노드를 연결할 경우 활성화
* 실행핀을 연결시켜야 이벤트가 발생함
[ 이벤트 그래프의 노드에 대한 간단 설명 ]
- Event BeginPlay: 이벤트 시작 시 단 한 번 실행
- Event ActorBeginOverlap: 액터가 다른 액터와 충돌할 당시 단 한 번 발생하는 이벤트
- Event Tick: 매 프레임마다 호출되는 이벤트
- Print String 함수: In String의 네모칸에 입력한 글자를 뷰포트에서 실행했을 때 보여줌
* '개발 전용' 을 클릭해 보다 상세한 설정 가능
In String: 출력할 글자 설정
Print to Screen: 화면에 출력할지 말지 체크 유무로 판단
Print to Log: 출력로그 화면에 In String의 글자를 찍을지 말지 체크 유무로 판단
Text Color: 글자 색 설정
Duration: 지속 시간(단위: 초)
Key: 같은 키 입력 시, 해당 글자로 변경되어 출력
--> 해당 설정: Hello 글자를 화면 / 출력로그에 찍으면서 화면에 10초 동안 노출
5) 설정한 이벤트 실행 확인
ex) 뷰포트에서 실행했을 때 화면에 Hello 글자 찍기
- 컴파일 버튼 > 컴파일시 저장 > 성공시에만 으로 체크하면 컴파일 성공했을 때 파일을 자동으로 저장해줌
- 만든 블루프린트 클래스 액터를 레벨에 끌어서 배치 후 레벨 플레이
cf) Print String 함수는 스택(Stack) 형식이기에 2개 이상의 함수를 연결했을 경우, 뒤에 적은 글자가 위에 쌓임
ex) 2개의 Print String 함수 생성 후 각각 Hello와 World 출력
- Hello가 World 밑에 생성됨
'Unreal Engine🎮 > 블루프린트 - 실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액터 실시간 회전 시키기 (0) | 2024.09.29 |
---|---|
블루프린트 클래스로 생성한 액터 이동 (0) | 2024.09.29 |
레벨 (1) | 2024.09.29 |
머티리얼과 머티리얼 인스턴스 (0) | 2024.09.25 |
엔진 퀄리티 설정 (1) | 2024.09.25 |